본문 바로가기
OTT 이야기/영화감상실

'라라랜드' - 줄거리와 등장인물, 감상평

by lolololong 2025. 5. 11.

 

'라라랜드'

꿈과 사랑의 선율이 담긴 순간들

뮤지컬 로맨스의 보석 같은 영화.

 

 

LaLa Land

 

꿈을 꾸는 사람들을 위한

별들의 도시 ‘라라랜드’.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과

배우 지망생 ‘미아’(엠마 스톤),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 만난 두 사람은

미완성인 서로의 무대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제목 : 라라랜드 (La La Land)

감독 : 데이미언 셔젤 (Damien Chazelle)

출연 : 라이언 고슬링 (세바스찬 역), 엠마 스톤 (미아 역)

장르 : 뮤지컬, 로맨스, 드라마

개봉 : 2016년

상영시간 : 128분


 

줄거리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배경으로, 서로 다른 꿈을 꾸는 두 남녀 미아와 세바스찬의 만남과 사랑, 그리고 이별을 그린 뮤지컬 영화입니다.

미아는 배우를 꿈꾸며 여러 오디션을 보지만 번번이 탈락하며 현실의 벽에 부딪히는 인물입니다. 낮에는 스튜디오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유지하고, 밤에는 꿈을 향한 희망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느 날 그녀는 우연히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을 만나게 됩니다.

세바스찬은 전통 재즈를 사랑하는 음악가로 언젠가 자신만의 재즈 클럽을 여는 것이 꿈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아서 레스토랑에서 크리스마스 캐럴을 연주하며 생계를 유지합니다. 둘은 각자의 방식으로 꿈을 좇는 가운데 점차 서로에게 끌리게 되고 음악과 예술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며 사랑을 키워갑니다.

하지만 현실의 장벽은 높기만 합니다. 미아는 연기에 대한 좌절감으로 배우의 꿈을 포기하려 하고 세바스찬은 생계를 위해 타협한 밴드 활동으로 점점 자신의 음악적 색을 잃어갑니다. 결국 두 사람은 각자의 길을 걷기로 선택하고  몇 년 후 다시 마주한 그들은 과거의 사랑을 떠올리며 서로를 기억합니다.

그들이 함께 이루지 못한 미래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환상’처럼 제시됩니다. 

 


 

 등장인물  

 미아 도란 (Mia Dolan) – 엠마 스톤

미아는 오디션을 전전하며 배우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젊은 여성입니다. 연기와 영화에 대한 사랑은 누구보다 크지만 현실과의 괴리 속에서 끊임없는 좌절을 겪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세바스찬을 통해 다시 꿈을 꾸게 되고  결국 스스로 쓴 1인극을 통해 기회의 문을 엽니다.

엠마 스톤은 미아 역을 통해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과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으며 섬세한 감정 연기로 관객의 깊은 공감을 자아냅니다.  

 세바스찬 와일더 (Sebastian Wilder) – 라이언 고슬링

세바스찬은 고전 재즈를 사랑하는 뮤지션입니다. 그는 음악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지녔으며 언젠가 자신만의 재즈 클럽을 여는 것이 인생의 목표입니다. 현실의 무게에 타협하며 고군분투하지만, 음악을 포기하지 않는 그의 모습은 열정의 상징처럼 그려집니다.

라이언 고슬링은 이 역할을 위해 실제로 피아노를 배우며 열연을 펼쳤으며, 차분하면서도 뜨거운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몰입을 이끌어냅니다.

 


 

감상평 

 

꿈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은 때론 외롭고, 불확실하고, 실패를 동반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 과정을 노래하며, 그 자체로 삶의 의미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미아와 세바스찬이 서로의 꿈을 응원하고 자극하며 성장하는 모습은 현실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관객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만들어 줍니다. 영화는 단순한 해피엔딩이나 새드엔딩으로 마무리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미아와 세바스찬이 각자의 꿈을 이룬 후 다시 마주쳤을 때 느끼는 미묘한 감정은 매우 현실적으로 느껴집니다.  그들이 함께하지 못했지만 서로의 삶을 더욱 빛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만듭니다.

마지막 장면의 상상은 ‘이뤄지지 않은 사랑’이 아니라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한 사랑’으로 받아들여지며 여운을 남깁니다.

뮤지컬이라는 형식을 통해 음악과 춤, 그리고 색채로 감정을 표현합니다. 오프닝 장면에서의 고속도로 댄스 신, 천문대 데이트 장면, 마지막 재즈 클럽의 회상 장면 등은 예술적으로도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라라랜드는 우리의 삶 속에도 존재합니다. 우리가 품었던 꿈, 선택하지 못한 길, 지나간 사랑,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 열정까지. 이 영화는 그런 삶의 단면들을 찬란하게 비추며, 관객의 가슴 깊은 곳에 자리 잡습니다.

사랑과 꿈 사이에서 우리는 늘 선택을 해야 하고, 그 선택이 항상 정답은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우리가 얼마나 진심이었는가에 따라 삶은 충분히 아름다울 수 있습니다.

 

 

 

비슷한 감성의 영화를 원하신다면?

1. 비긴 어게인 (Begin Again, 2013)

도시(뉴욕)배경으로 감성적 음악 영화. 서로 상처받은 인물이 음악을 통해 치유되고 연결되는 과정이 인상적임.

 

2. 위플래쉬 (Whiplash, 2014)

재즈 드럼 천재 지망생과 완벽을 강요하는 스승 사이의 극한 훈련과 심리전.

 

3. 500일의 썸머 (500 Days of Summer, 2009)

남자의 시점에서 바라본 500일간의 사랑 이야기.